맨위로가기

무라트 5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트 5세는 1840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뒬메지트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1876년 쿠데타로 숙부 압뒬아지즈를 폐위시키고 즉위했으나, 정신 질환으로 인해 93일 만에 폐위되었다. 이후 유폐 생활을 하다가 1904년 사망했으며, 그의 생애는 입헌주의 사상과의 교류, 짧은 재위 기간, 그리고 정신 건강 문제로 특징지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0년 출생 - 오귀스트 로댕
    오귀스트 로댕은 인체의 역동성과 감정 표현에 주목하여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조각 작품을 창조하고 미완성 기법을 통해 조각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프랑스의 조각가이자 근대 조각의 선구자이다.
  • 1840년 출생 - 카를 멩거
    카를 멩거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창시자이자 경제학자로, 주관적 가치 이론과 한계효용 이론을 정립하고 사회과학 방법론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여 오스트리아 학파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 이스탄불 출신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이스탄불 출신 - 탄수 칠레르
    탄수 칠레르는 터키 최초의 여성 총리로,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재임하면서 유럽 연합과의 관세 동맹 체결 및 국영 기업 민영화 등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인플레이션 심화와 여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정계를 은퇴했다.
  • 1904년 사망 - 안젤코 알렉시치
    안젤코 알렉시치는 오스만 제국 출신의 세르비아 체트니크 지휘관으로, IMRO에 가입하여 일린덴 봉기에 참여한 후 체트니크 조직에 합류하여 오스만 제국 영토 내 작전 중 슈플리 카멘 전투에서 전사했다.
  • 1904년 사망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무라트 5세
기본 정보
왈리 알아흐드 샤자데 무라트 에펜디, c. 1869 (사진: [[압둘라 프레레스]])
왈리 알아흐드 샤자데 무라트 에펜디, c. 1869 (사진: 압둘라 프레레스)
칭호오스만 칼리프
칭호아미르 알무미닌
칭호두 성지의 수호자
출생일1840년 9월 21일
출생지튀라안 궁전, 콘스탄티노폴리스, 오스만 제국
사망일1904년 8월 29일
사망지튀라안 궁전, 콘스탄티노폴리스, 오스만 제국
매장지새 모스크, 이스탄불, 터키
왕조오스만
서명 유형투그라
매장일1904년 8월 30일
서명Tughra of Murad V.svg
통치
군주오스만 황제 (파디샤)
재위 기간1876년 5월 30일 ~ 1876년 8월 31일
선임압둘아지즈
섭정메흐메트 뤼슈디 파샤
섭정 유형대재상
후임압둘 하미드 2세
가문
아버지압 뒬메지트 1세
어머니셰브케프자 술탄
배우자
배우자 목록메브히베 카든
레프타르딜 카든
샤얀 카든
메일리스르베트 카든
네브뒤르 하늠
게브헤리즈 하늠
렘즈시나스 하늠
레산 하늠
필리즈텐 하늠
배우자 유형배우자
자녀
자녀 목록셰자데 메흐메트 셀라헤딘
셰자데 쉴레이만
하티제 술탄
셰자데 세이페딘
페히메 술탄
파트마 술탄
알리예 술탄

2. 생애

1876년 숙부 압뒬아지즈가 퇴위한 후 즉위했다. 1867년 숙부의 서유럽 여행에 동행하여 유럽 사정에 밝았으며, 미드하트 파샤 등 오스만 제국의 개혁파로부터 기대를 받았다. "신 오스만인"으로 불리는 입헌파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지원하기도 했으나, 이 때문에 숙부에게 경계받아 오랫동안 감시받는 생활을 했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 술에 의존하다 정신 질환을 얻었고, 즉위 후에도 회복하지 못해 재위 93일 만에 퇴위했다. 이후 압뒬하미드 2세가 즉위했으며, 무라트 5세는 이스탄불 치라안 궁전에 유폐되었다가 1904년 8월 29일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

무라트 5세는 1840년 9월 21일 이스탄불의 치라안 궁전에서 셰흐자데 메흐메드 무라드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마흐무트 2세와 베즈미알렘 술탄의 아들인 술탄 압뒬메지트 1세였다. 어머니는 조지아 출신인 셰브케프자 술탄이었다.[2][3]

1847년 9월, 일곱 살 때 이복 동생 셰흐자데 압뒬하미트와 함께 의례적인 할례를 받았다.[4][5]

무라트는 궁에서 교육을 받았다. 쿠란은 토프릭 쉴레이만 에펜디, 오스만 튀르크어는 페릭 에펜디, 하디스(무함마드의 전통)는 셰이크 하피즈 에펜디, 프랑스어는 몽시에 가르데, 피아노는 칼리스토 구아텔리와 이탈리아의 롬바르디가 가르쳤다.

2. 2. 황태자 시절

1867년 7월 13일, 발모럴 성에서 유럽을 방문한 삼촌을 따라온 황태자 무라트(사진: W. & D. Downey)


1861년 숙부 압뒬아지즈가 술탄 압뒬메지트의 죽음 이후 왕위에 오르자 무라트는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그는 압뒬아지즈가 그에게 할당한 쿠르바갈르데레에 있는 농장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그의 가족은 돌마바흐체 궁전과 니스베티예 저택에 있는 황태자 아파트에서 겨울을 보내곤 했다.[6]

1863년 압뒬아지즈의 이집트 방문과 1867년 유럽 방문에 참여했다. 유럽 통치자들은 그의 친절함에 감탄했지만, 이를 불편하게 여긴 삼촌은 그를 이스탄불로 돌려보낼 계획을 세웠다. 나폴레옹 3세와 빅토리아 여왕은 압뒬아지즈보다 무라트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게다가 황태자를 위한 특별 초청과 여행이 기획되었다.[6]

그는 입헌 정체를 원했던 신 오스만주의자들과 자주 교류했다. 그가 자주 만났던 시나시는 나믹 케말 및 지야 파샤와 입헌주의, 민주주의, 자유에 대한 아이디어를 교환했다. 그는 또한 지야 파샤와 그의 개인 주치의 카폴레온 에펜디를 통해 탄지마트 시대의 선도적인 정치가이자 청년 오스만의 지도자였으며, 술탄 압뒬아지즈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던 미드하트 파샤와도 교류했다.[6]

무라트는 오스만 제국 왕조의 일원 중 최초로 터키 자유 메이슨 대 로지의 회원이 되었다.[7] 1872년 10월 20일,[7] 무라트는 그의 시종 세이이드 베이의 후원으로 비밀리에 로지에 입회했다. 무라트는 로지에서 지위를 높였다. 그는 한때 터키어로 의식을 진행하는 "동방의 빛"이라는 독립적인 오스만 로지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술탄 압뒬아지즈는 자신의 아들 셰흐자데 유수프 이제딘을 위해 상속 제도를 바꾸려 시도했다.[8] 이를 위해 압뒬아지즈는 다양한 압력 단체를 달래고 아들이 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도록 노력했다. 1867년 유럽 방문 중에 압뒬아지즈가 프로토콜 규칙에 어긋나 공식 상속자 무라드 왕자보다 먼저 파리와 런던에서 이제딘의 환영회를 주선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보수적인 마흐무트 네딤 파샤가 1871년 9월 대재상이 되자 그는 압뒬아지즈의 계획을 지지했다. 자신의 계획을 더욱 정당화하기 위해 압뒬아지즈는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에서 장자 상속으로의 변경을 전술적으로 지지했다. 1866년 이스마일 파샤에게 장자 상속을 허용함으로써 압뒬아지즈는 자신의 아들에게 유리하도록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을 조성하려 했다.

1867년 숙부의 서유럽 여행에 수행한 경험이 있어, 유럽 사정에 밝은 인물로 미드하트 파샤 등으로부터 기대를 받았으며, "신 오스만인"으로 불리는 입헌파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때로는 그들을 원조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입헌파와의 관계가 숙부에게 경계받아, 오랫동안 감시를 받으며 생활하게 되었다.

1876년, 숙부인 제32대 황제 압뒬아지즈가 퇴위한 후 황제에 즉위했다.

2. 3. 즉위와 폐위

1876년 5월 30일, 미드하트 파샤 등이 주도한 쿠데타로 압뒬아지즈가 폐위되고 무라트 5세가 즉위했다.[8] 무라트 5세는 즉위 이전부터 입헌주의 세력과 협력하여 압뒬아지즈의 폐위에 참여했다.[8] 그러나 즉위 직후 정신 질환 증세를 보이며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8] 그는 음악에 심취했던 이전의 조용한 삶과는 달리, 새로운 역할에서 정상적인 모습을 보이려고 애썼으나, 허약한 신경과 알코올 중독은 정신 붕괴를 초래했다.[8]

숙부 압뒬아지즈의 죽음은 즉위 며칠 만에 일어났고, 이는 그에게 충격을 주었다. 갑작스러운 즉위에 대한 고통과 통치자로서의 요구는, 세상이 그의 삼촌의 죽음을 그가 지시한 것으로 해석할 것이라는 불안한 생각으로 이어졌다. 무라드는 완전한 붕괴를 앞두고 기이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부 지도자들은 정신 질환 전문가인 막스 라이데스도르프를 비엔나에서 초빙했고, 그는 무라드가 3개월 동안의 병원 치료를 통해 완전히 회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다른 오스만 제국 지도자들은 이를 시도하려 하지 않았다.

미드하트 파샤와 오스만 정부는 셰이훌이슬람의 승인을 얻어냈고, 압둘 하미드가 헌법을 공포하겠다고 약속하면서 1876년 8월 31일, 정신 질환을 이유로 무라트 5세를 폐위시켰다.[8] 그의 재위 기간은 단 93일이었다.[9] 그의 이복 동생이 왕위에 올라 술탄 압뒬하미트 2세로 즉위했다. 무라트 5세는 치라간 궁전에 유폐되었고, 압뒬하미트 2세의 명령으로 궁궐 밖으로 나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8]

1867년 숙부의 서유럽 여행에 수행한 경험이 있어, 유럽 사정에 밝은 인물로 미드하트 파샤 등으로부터 기대를 받았으며, "신 오스만인"으로 불리는 입헌파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때로는 그들을 원조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입헌파와의 관계가 숙부에게 경계받아, 오랫동안 감시를 받으며 생활하게 되었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 술에 빠져 정신 질환을 앓게 되었고, 즉위 후에도 치유되지 않았다.

2. 4. 유폐 생활과 죽음

1876년 8월 31일, 미드하트 파샤와 오스만 정부는 셰이훌이슬람의 승인을 받아 정신 질환을 이유로 무라트 5세를 폐위시켰다.[8] 그의 재위 기간은 단 93일이었다.[9] 이복 동생인 압뒬 하미드 2세가 술탄으로 즉위하면서 무라트 5세는 치라안 궁전에 유폐되었고, 압뒬 하미드 2세의 명령으로 궁궐 밖으로 나가는 것이 금지되었다.[8]

1877년, 유폐된 지 약 9개월 만에 무라트 5세는 정신을 되찾았다. 유폐 초기 2년 동안 지지자들은 그를 석방하고 왕좌에 복귀시키려는 세 번의 시도를 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오히려 압뒬 하미드 2세가 치라안 궁전을 주변 도시로부터 격리하는 경계를 강화하는 결과만 낳았다.

치라안 사건에 연루된 오스만 정치 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신학자, 개혁가인 알리 수아비


1878년 5월 20일, 무라트 5세를 치라안 궁전에서 구출하여 다시 왕위에 앉히려는 시도가 있었다. 무라트의 형제들인 셰흐자데 아흐메트 케말레딘과 셰흐자데 셀림 쉴레이만, 자매들인 파트마 술탄과 세니하 술탄, 그리고 그녀의 남편 마흐무트 젤랄레딘 파샤가 이 음모에 연루되었다. 이들은 모두 무라트가 왕위를 되찾기를 원했다. 당시 압뒬하미트의 권위주의 정권에 반대하는 급진적인 정치적 반대자인 알리 수아비는 최근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온 무장 난민들과 함께 궁전을 습격했다. 오스만 전함 ''메수디예''는 무라트를 데리고 그의 즉위를 발표하기 위해 궁전 앞바다에 정박해 있었다. 그러나 무라트는 배에 도달하지 못했고, 알리 수아비의 부하들은 베식타시 경찰서장 하지 하산 파샤의 격렬한 저항을 극복할 수 없었다. 음모는 실패했고, 알리 수아비와 그의 부하 대부분이 사망했다. 그 여파로 치라안 궁전의 보안이 강화되었다.

무라트와 그의 가족이 1904년 무라트가 사망할 때까지 28년 동안 술탄 압둘 하미드에 의해 감금된 치라안 궁전


정신 능력을 회복한 무라트는 서방 언론이 그에게 부여한 것보다 훨씬 더 양호한 삶을 살았다. 여러 해 동안의 보도에 따르면 그는 감옥에서 쇠약해지거나, 탈출하여 숨어 있거나, 형제에게 아르메니아인 학살 문제에 대해 설교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1889년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무라트는 모든 사랑과 관심을 자녀들에게 쏟았다. 셀라헤딘은 그의 슬픔 속에서 동반자가 되었고, 두 사람은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며 회상하고 미래에 대해 추측했다. 한동안 그들은 메스네비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구절을 암송하는 데 큰 즐거움을 느꼈다.

사망 이후 제작된 포스터


결국, 당뇨병으로 고생하던 무라트 5세는 1904년 8월 29일 치라안 궁전에서 사망했다. 그의 수석 부인 메브히베 카든과 아들 셀라하딘은 무라트 5세가 야흐야 에펜디 영묘에 묻히기를 원했다고 전했지만, 압뒬하미드 2세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다음 날, 무라트 5세의 장례는 별다른 발표나 의식 없이 치러졌다. 그의 시신은 톱카프 궁전에서 씻겨 수의가 입혀진 뒤 바흐체카피의 히다예트 모스크로 옮겨졌다. 장례 행렬 후, 그는 이스탄불의 예니 모스크에 있는 어머니 셰브케프자 옆에 묻혔다.

3. 가족 관계

무라트 5세는 9명의 부인을 두었으며,[13] 슬하에 3남 4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셰흐자데 메흐메트 셀라헤딘1861년 8월 5일1915년 4월 29일레프타디릴 카든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장남이자 유일하게 성년까지 생존한 아들이다.[1]
셰흐자데 쉴레이만1866년1866년어머니는 미상.[1]
셰흐자데 세이페딘1872년1872년어머니는 미상.[1]
하티제 술탄1870년 4월 5일1938년 3월 13일샤얀 카딘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하여 아들 둘과 딸 둘을 두었다.
페히메 술탄1875년 7월 2일1929년 9월 15일메이리세르베트 카딘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파트마 술탄1879년 6월 19일1932년 11월 20일레산 하님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 번 결혼하여 아들 넷과 딸 하나를 두었다.
알리예 술탄1880년 8월 24일1903년 9월 17일레산 하님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알리예 술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이듬해 하티제 술탄과 관련된 스캔들은 무라트의 건강을 악화시켰고, 그는 1904년 중반에 사망했다.[14]


3. 1. 부인


  • 엘라루 메브히베 카딘(1835년 8월 6일 ~ 1936년 2월 21일). 바쉬카딘. 조지아 출신으로, 무라트의 아버지인 압둘메지드 1세의 딸들 사이에서 자랐다. 알려진 자녀는 없다. 무라트가 사망한 후 쉬실리에 정착했으며, 이스탄불의 영국 점령 이후 사생활로 은퇴하여 다시는 집을 떠나지 않고 죽을 때까지 정원을 가꾸며 여생을 보냈다.[13]
  • 레프타르딜 카딘(1838년 ~ 1936년 3월 3일). 제2 카딘. 하트코 가문 출신의 체르케스인. 아들을 낳았다.[13]
  • 샤얀 카딘(1853년 1월 4일 ~ 1945년 3월 15일). 제3 카딘. 아나파에서 사피예 잔 공주로 태어났다. 딸을 낳았다.[13]
  • 메이리세르베트 카딘(1859년 10월 21일 ~ 1891년 12월 9일). 제4 카딘. 무라트와 결혼하기 전에는 이복 누이인 레피아 술탄을 모셨다. 딸을 낳았다. 무라트보다 먼저 사망했기 때문에 치라간 궁전을 떠난 적이 없다.[13]
  • 레산 하님(1860년 3월 28일 ~ 1910년 3월 31일). 바쉬이크발. 조지아 출신으로, 아르트빈에서 아이셰 하님으로 태어났다. 무라트와 결혼하기 전에는 이복 누이인 세니하 술탄을 모셨다. 두 딸을 낳았다.[13]
  • 게브헤르리즈 하님(1863년~1940년). 제2 이크발, 셰브헤르리즈 하님이라고도 불린다. 소치에서 태어난 체르케스인. 비빈이 되기 전에는 칼파 (소녀 하녀)였다. 알려진 자녀는 없다. 무라트 사후 재혼했지만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다.[13]
  • 네브드뤼르 하님(1861년~1927년). 제3 이크발. 바투미에서 태어났다. 알려진 자녀는 없다. 무라트가 사망한 후 급여를 받지 못하고 의붓딸 하티제 술탄과 함께 살았으며, 1924년 하티제가 추방되자 완전히 빈곤해졌다.[13]
  • 렘지나스 하님(1864년 ~ 1934년 이후). 제4 이크발. 체르케스인. 알려진 자녀는 없다.[13]
  • 필리즈텐 하님(1862년~1945년). 제5 이크발. 알려진 자녀는 없다.[13]

3. 2. 자녀

무라트 5세는 여러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그 자녀들의 목록이다.

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셰흐자데 메흐메트 셀라헤딘1861년 8월 5일1915년 4월 29일레프타디릴 카든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무라트 5세의 장남이자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들이다. 무라트가 셰흐자데였을 때 태어났으며, 일곱 명의 후궁과 여덟 명의 아들, 여덟 명의 딸을 두었다.[1]
셰흐자데 쉴레이만1866년1866년어머니는 미상이다.[1]
셰흐자데 세이페딘1872년1872년어머니는 미상이다.[1]
하티제 술탄1870년 4월 5일1938년 3월 13일셰흐자데였던 무라트와 셰얀 카든(Şayan Kadın)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하여 아들 둘과 딸 둘을 두었다.
페히메 술탄1875년 7월 2일1929년 9월 15일무라트와 메이리세르베트 카든(Meyliservet Kadın)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파트마 술탄1879년 6월 19일1932년 11월 20일무라트와 레산 하늠(Resan Hanım)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 번 결혼하여 아들 넷과 딸 하나를 두었다.
알리예 술탄1880년 8월 24일1903년 9월 17일무라트와 레산 하늠(Resan Hanım) 사이에서 태어났다. 알리예 술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이듬해 하티제 술탄과 관련된 스캔들은 무라트의 건강을 악화시켰고, 그는 1904년 중반에 사망했다.[14]


3. 2. 1. 아들


  • 셰흐자데 메흐메트 셀라헤딘 (1861년 8월 5일 ~ 1915년 4월 29일) - 레프타디릴 카든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무라트 5세의 장남이자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들이다. 무라트가 셰흐자데였을 때 태어났으며, 일곱 명의 후궁과 여덟 명의 아들, 여덟 명의 딸을 두었다.[1]
  • 셰흐자데 쉴레이만 (1866년 ~ 1866년) - 어머니는 미상이다.[1]
  • 셰흐자데 세이페딘 (1872년 ~ 1872년) - 어머니는 미상이다.[1]

3. 2. 2. 딸

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하티제 술탄1870년 4월 5일1938년 3월 13일셰흐자데였던 무라트와 셰얀 카든(Şayan Kadın)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하여 아들 둘과 딸 둘을 두었다.
페히메 술탄1875년 7월 2일1929년 9월 15일무라트와 메이리세르베트 카든(Meyliservet Kadın)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번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파트마 술탄1879년 6월 19일1932년 11월 20일무라트와 레산 하늠(Resan Hanım) 사이에서 태어났다. 한 번 결혼하여 아들 넷과 딸 하나를 두었다.
알리예 술탄1880년 8월 24일1903년 9월 17일무라트와 레산 하늠(Resan Hanım) 사이에서 태어났다. 알리예 술탄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이듬해 하티제 술탄과 관련된 스캔들은 무라트의 건강을 악화시켰고, 그는 1904년 중반에 사망했다.[14]


4. 평가 및 영향

무라트 5세는 프랑스어아랍어를 모두 구사했으며, 프랑스에서 책과 잡지를 구해 읽을 정도로 프랑스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 피아노를 연주하고 서양식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8] 그는 자유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9][10][11][12]

1867년 숙부의 서유럽 여행에 동행하여 유럽 사정에 밝았으며, 미드하트 파샤 등에게 기대를 받았다. "신 오스만인"으로 불리는 입헌파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그들을 돕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 때문에 숙부 압뒬아지즈의 경계를 받아 오랫동안 감시받는 생활을 했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 무라트 5세는 술에 의존했고, 정신 질환을 앓게 되었다. 1876년 황제 즉위 후에도 병이 낫지 않아 93일 만에 퇴위당했고, 동생 압뒬하미드 2세가 황제 자리를 이었다. 퇴위 후 이스탄불의 칠라안 궁전에 유폐되었으며, 1904년 8월 29일 사망했다.

5. 대중문화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무라트 5세의 생애가 다뤄졌다.


  • 2011년 터키 드라마 《키를리 오윤라르》에서 세즈긴 에르데미르가 무라트 5세를 연기했다.[15]
  • 2012년 5월 3일, 앙카라 오페라 하우스에서 발레 "무라트 5세"가 세계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무라트 5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춘 전기적 대본을 사용하며, 그가 작곡한 작품 중 일부를 포함한다.[16]
  • 2012년 터키 영화 《술탄의 여인들》에서 세르하트 카플란이 무라트 5세를 연기했다.[17]
  • 2015년 터키 드라마 《필린타》에서 우우르 울루다가 무라트 5세를 연기했다.[18]
  • 2017년 터키 드라마 《파이타흐트: 압둘하미드》에서 네브자트 일마즈가 무라트 5세를 연기했다.[19]
  • 무라트는 아이셰 오스마노글루의 2020년 역사 소설 《보스포루스 해협의 금빛 우리》의 등장인물이다.[20]

참조

[1] 웹사이트 Istanbul http://concise.brita[...] Britannica
[2] 웹사이트 Kesitler http://www.osmanli70[...] 2021-01-31
[3] 서적 The harem seen by Prince Salahaddin Efendi (1861–1915). Searching for women in male-authored documentation
[4] 서적 Osmanlı saray düğünleri ve şenlikleri: Manzum sûrnâmeler Sarayburnu Kitaplığı
[5] 서적 Dünden bugüne İstanbul ansiklopedisi Kültür Bakanlığı
[6] 간행물 Murad V https://islamansiklo[...]
[7] 웹사이트 Hür ve Kabul Edilmiş Masonlar Büyük Locası Derneği http://162.243.49.51[...] 2021-01-31
[8]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010
[9]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Ottoman Empire 1992
[10] 서적 The History of Turke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7-05-06
[11] 서적 Essential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Barron's Educational Series 2017-05-06
[12] 서적 The Making of the Modern Near East 1792–192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5-06
[13] 웹사이트 HH Eleru Mevhibe Kadin Efendi http://freepages.gen[...] 2013-05-10
[14] 문서 Sofya'da Medfun Bir Osmanlı Sultanı: V. Murad'ın Kızı Fatma Sultan 2018
[15] 웹사이트 5. Murad masondu https://www.ensonhab[...] 2021-01-30
[16] 학술지 Emre Aracı introduces the ballet "Murad V" / "V. Murad" balesi nasıl doğdu? https://archive.org/[...] 2012-05
[17] Citation Cast of the 2012 movie "The Sultan's Women" http://www.sultanswo[...] 2021-01-30
[18] 웹사이트 "Filinta" Episode #2.58 (TV Episode 2015) http://www.imdb.com/[...] IMDb 2021-01-30
[19] Citation Payitaht: Abdülhamid (TV Series 2017– ) https://www.imdb.com[...] 2021-01-30
[20] 서적 The Gilded Cage on the Bosphorus: The Ottomans: The Story of a Family Ayşe Osmanoğlu 2020
[21] 웹사이트 Istanbul http://concise.brita[...] Britannica 2007-12-18
[22] 서적 Kadınefendiler: Son Dönem Osmanlı Padişah Eşleri Prolil Yayıncılık 2015-05-03
[23] 웹사이트 Turkish Historical Society XXXI. Türk Tarih Kurumu Osmanlı Tarihi Interaktif CD-ROM http://www.ttk.gov.t[...]
[24] URL http://www.osmanli70[...]
[25] 서적 Padişah anneleri https://books.google[...] Babıali Kültür Yayıncılığ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